1. 축농증의 원인
축농증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기전이 작용합니다. 먼저 감염 요인입니다. 1) 바이러스 감염. 대부분의 급성 축농증은 바이러스 감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코 점막에 염증을 유발하여 부비동을 막히게 하고, 점액이 고여 부비동염이 발생할 위험을 높입니다. 2) 세균 감염. 감기로 인해 점액이 고이면, 세균이 번식하여 세균성 부비동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급성 부비동염이 바이러스성 감기로 시작된 후 점차 심해질 때 세균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곰팡이 감염.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곰팡이 감염에 의한 부비동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곰팡이성 부비동염은 흔하지 않지만, 면역 결핍 환자에서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알레르기에 의한 축농증입니다. 1)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는 축농증의 또 다른 주요 원인입니다. 알레르기 반응으로 코 점막이 부어오르면 부비동이 막히고 점액 배출이 어려워집니다. 특히 꽃가루, 먼지, 애완동물의 털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지속적인 자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알레르기성 염증. 부비동 내부의 염증이 만성화되면서 점액이 배출되지 않아 부비동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비강 구조의 문제 때문입니다. 1) 비중격 만곡. 코의 비중격이 휘어진 경우 부비동으로의 공기 흐름이 방해받아 축농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2) 비강 폴립. 코 안에 발생하는 비강 폴립은 공기 흐름을 막고 점액의 배출을 어렵게 만들어 축농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3) 부비동의 기형. 선천적이거나 외상에 의해 부비동의 구조에 이상이 생기면 축농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네번째는 환경 요인과 생활습관 때문입니다. 1) 공기 오염. 미세먼지와 오염된 공기는 코 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흡연. 흡연은 코 점막을 손상시키고 점액 배출을 방해하여 부비동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조한 공기: 실내가 건조하면 코 점막이 마르고 염증이 생기기 쉬워 부비동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마지막으로 기타 다른 요인들을 알아 보겠습니다. 1) 면역력 약화. 면역력이 약해지면 부비동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HIV/AIDS 환자나 항암 치료를 받는 사람은 면역 기능이 떨어져 축농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2) 상부 호흡기 질환. 상기도 감염이 자주 반복되면 부비동염 위험이 커집니다.
2. 축농증의 증상
축농증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증상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급성 축농증은 4주 이내에 끝나며, 만성 축농증은 12주 이상 지속됩니다. 먼저 급성 축농증의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1) 코막힘. 코가 꽉 막혀 숨쉬기 어려운 상태가 되며, 냄새를 맡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2) 얼굴 통증 및 압박감. 이마, 코 옆, 눈 주위, 또는 상악동(위턱 부위)에서 심한 압박감과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고개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점액 분비. 코에서 노란색이나 녹색 점액이 흐르거나,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발생해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두통. 부비동에 압력이 가해져 두통이 생기며, 특히 오전에 심할 수 있습니다. 5) 발열. 급성 감염의 경우 발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6) 피로감 및 전신 증상. 몸이 무겁고 피곤하며, 전반적인 쇠약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두 번째로 만성 축농증의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1) 지속적인 코막힘. 코막힘이 몇 주 이상 지속되며, 냄새를 맡기 어려운 상태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얼굴의 지속적인 불편감. 얼굴에 압박감이나 둔한 통증이 오래 지속됩니다. 3) 후비루 및 기침. 목으로 점액이 넘어가면서 기침을 자주 하게 됩니다. 특히 밤에 기침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4) 피로. 만성 피로와 함께 집중력이 떨어지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눈 주위 붓기. 눈 주위가 붓고 통증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3. 축농증의 치료법
먼저 약물 치료를 살펴보겠습니다. 1) 항생제. 세균 감염이 확인되었을 때 항생제를 처방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보통 10~14일간 지속되며, 효과가 없을 경우 항생제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2)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염증을 줄이기 위해 스테로이드 성분의 스프레이를 사용합니다. 코 점막의 붓기를 완화해 점액이 잘 배출되도록 돕습니다.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가 원인일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비충혈제(탈충혈제). 코막힘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비수술적 요법입니다. 1) 생리식염수 세척.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해 점액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부비동의 통기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증기 흡입: 따뜻한 증기를 들이마시면 점액이 묽어지고 배출이 쉬워져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2) 온찜질. 얼굴에 따뜻한 수건을 대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세 번째는 수술적 치료입니다. 1) 부비동 내시경 수술. 만성 축농증이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을 이용해 막힌 부비동을 열고, 염증을 제거합니다.
비중격 교정술 및 폴립 제거: 비중격이 휘어있거나 폴립이 있는 경우, 이를 교정하거나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